세르비아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를 대표하는 배구 국가대표팀으로, 1924년 배구가 세르비아에 도입된 이후 유고슬라비아 시절을 거쳐 현재까지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1946년 유고슬라비아 배구 연맹으로 시작하여 1947년 국제 배구 연맹(FIVB)에 가입했으며,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를 대표하여 활동하고 있다. 올림픽에서 2000년 시드니 대회 금메달, 1996년 애틀랜타 대회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998년 은메달, 2010년 동메달을, 월드컵에서 2003년 동메달을 획득했다.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1년, 2011년, 2019년 우승을 포함하여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주요 선수로는 니콜라 그르비치, 이반 밀리코비치 등이 있으며, 조란 가이치, 이고르 콜라코비치 등이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핸드볼 국가대표팀
세르비아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를 대표하는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등에 참가하며 드라간 슈르비치가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배구 연맹 가입 후 유럽 선수권 3회 우승, 세계 선수권 2회 우승, 올림픽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세계적인 강호이다. - 국제 배구 - 스페인 배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배구 국가대표팀은 스페인을 대표하여 국제 배구 대회에 참가하는 남자 배구 팀으로, 월드 리그와 유러피언 리그에서 경쟁력을 다져왔다. - 국제 배구 -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배구계의 강자로 군림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배구 연맹으로부터 대회 참가 금지 조치를 받았다.
세르비아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오를로비 (독수리들) |
협회 | 세르비아 배구 연맹 |
연맹 | CEV |
감독 | 이고르 콜라코비치 |
올림픽 | |
출전 횟수 | 6회 |
첫 출전 | 1996년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svg|16px]] 2000년 |
세계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8회 |
첫 출전 | 1998년 |
최고 성적 | [[파일:Silver medal world centered-2.svg|16px]] 1998년 |
월드컵 | |
출전 횟수 | 2회 |
첫 출전 | 2003년 |
최고 성적 | [[파일:Simple bronze cup.svg|16px]] 2003년 |
유럽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29회 |
첫 출전 | 1951년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 europe.svg|16px]] 2001년, 2011년, 2019년 |
메달 기록 | |
하계 올림픽 | 금 1, 은 0, 동 1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 0, 은 1, 동 1 |
월드컵 | 금 0, 은 0, 동 1 |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금 0, 은 0, 동 1 |
월드리그 | 금 1, 은 5, 동 3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 3, 은 1, 동 8 |
지중해 게임 | 금 0, 은 0, 동 1 |
총합 | 금 5, 은 7, 동 16 |
국가 | / / |
2000 시드니 | 금메달 |
1996 애틀랜타 | 동메달 |
1998 일본 | 은메달 |
2010 이탈리아 | 동메달 |
2003 일본 | 동메달 |
2001 일본 | 동메달 |
2016 크라쿠프 | 금메달 |
2003 마드리드 | 은메달 |
2005 베오그라드 | 은메달 |
2008 리우데자네이루 | 은메달 |
2009 베오그라드 | 은메달 |
2015 리우데자네이루 | 은메달 |
2002 벨루오리존치 | 동메달 |
2004 로마 | 동메달 |
2010 코르도바 | 동메달 |
2001 체코 | 금메달 |
2011 오스트리아/체코 | 금메달 |
2019 프랑스/슬로베니아/벨기에/네덜란드 | 금메달 |
1997 네덜란드 | 은메달 |
1975 유고슬라비아 | 동메달 |
1979 프랑스 | 동메달 |
1995 그리스 | 동메달 |
1999 오스트리아 | 동메달 |
2005 이탈리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동메달 |
2007 러시아 | 동메달 |
2013 덴마크/폴란드 | 동메달 |
2017 폴란드 | 동메달 |
2005 알메리아 | 동메달 |
2016 크라쿠프 | 은메달 |
2009 우치 | 동메달 |
2019 크라쿠프 | 동메달 |
FIVB 랭킹 | |
2024년 3월 | 9위 |
2. 역사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출신의 윌리엄 빌랜드 교수가 민속학 및 민속 스포츠 강연을 통해 세르비아에 배구를 소개했다. 적십자사가 베오그라드와 노비사드에서 미국의 스포츠에 대한 강연과 시연을 개최한 1924년, 최초의 배구공이 세르비아에 들어왔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의 점령 기간 동안 배구는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수많은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더 많은 스포츠 클럽/협회가 배구 부서를 설립했다.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으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것은 세르비아 배구 역사상 가장 자랑스러운 순간이다.[4] 당시 강력한 우승 후보는 이탈리아 팀이었지만,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유고슬라비아)는 준결승에서 이탈리아를 세트 스코어 3-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조별 예선에서 이탈리아와 러시아에 밀려 3위에 머물렀지만, 결승전에서 러시아를 세트 스코어 3-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4]
1946년 세르비아/유고슬라비아 배구 연맹이 유고슬라비아 체육 연맹에 의해 설립되었다.[11] 1947년 국제 배구 연맹(FIVB)이 설립되었고, 구 유고슬라비아는 14개 창립 회원국 중 하나였다. 1949년 2월 13일부터 배구 연맹은 독립적인 스포츠 기구가 되었다.[11] 1951년 파리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유고슬라비아 여자 배구팀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5년에는 세르비아가 남자부와 여자부 유럽 선수권 대회를 모두 개최했으며, 남자 대표팀은 베오그라드에서 불가리아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5]
2. 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6-1992)
1946년 유고슬라비아 체육 협회 산하 배구 연맹으로 설립되었으며,[11] 1947년 국제 배구 연맹(FIVB)에 가입했다.[12] 1949년 2월 13일 유고슬라비아 체육 협회에서 독립적인 스포츠 기구가 되었다.[11] 초기에는 국제 무대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1970년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동메달을 획득하며 발칸 지역의 강호로 떠올랐다.2. 2.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992-2006)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 후, 많은 선수들이 국내 리그를 떠나 해외, 특히 세리에 A로 진출했다.[13] 이탈리아 리그에서 습득한 선진 배구 기술과 전략을 국가대표팀에 접목하여 급격한 실력 향상을 이루었다.[13]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동메달, 1997년 유럽 선수권 대회, 199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부상했다.
1999년, 코소보 전쟁으로 베오그라드와 노비사드가 NATO군 공습 대상이 되면서, (FIVB)는 세르비아의 1999년 월드 리그 참가 자격을 박탈했다.[14]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배구의 정점에 올랐다.[15] 결승전에서 러시아를 세트 스코어 3-0으로 완파한 것은 세르비아 배구 역사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이다.[4]
200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FIVB 랭킹 1위에 올랐다. 2003년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2. 3. 세르비아 (2006-현재)
2006년 몬테네그로의 독립 이후,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대표팀의 역사를 계승하여 세르비아 국가대표팀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2007년 월드 리그에서는 9위에 그치며 잠시 주춤했지만, 젊은 선수들의 성장으로 곧바로 반등에 성공했다. 2008년 월드 리그에서 준우승을 하였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8강에 진출했다.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다시 한번 세계 정상급 팀임을 입증했다. 2011년 월드컵에서는 8위에 그쳤다.[8]2011년에는 유럽 챔피언이 되었고, 2016년에는 마르코 이보비치가 토너먼트 MVP로 선정되고 스르코 리시나츠가 최고의 미들 블로커로 선정되면서 처음으로 FIVB 월드 리그 챔피언이 되었다.[6] 2013년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와 2017년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세르비아는 2019년 대회에서 다시 유럽 챔피언이 되었으며, 우로시 코바체비치는 대회 MVP로 선정되었다.[7][8]
FIVB 네이션스리그에서는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연도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획득 | 세트 손실 | 득점 | 실점 |
---|---|---|---|---|---|---|---|---|
2018 | 5위 | 17 | 11 | 6 | 33 | 30 | 1404 | 1408 |
2019 | 11위 | 15 | 6 | 9 | 28 | 36 | 1393 | 1417 |
2021 | 6위 | 15 | 10 | 5 | 35 | 27 | 1419 | 1341 |
2022 | 11위 | 12 | 5 | 7 | 19 | 27 | 1010 | 1043 |
2023 | 9위 | 12 | 6 | 6 | 23 | 23 | 1045 | 1056 |
2024 | 10위 | 12 | 5 | 7 | 23 | 26 | 1051 | 1094 |
합계 | 6/6 | 83 | 43 | 40 | 161 | 169 | 7322 | 7359 |
3. 주요 성적
대회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총계 올림픽 1 0 1 2 세계 선수권 대회 0 1 1 2 월드컵 0 0 1 1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0 0 1 1 월드리그 1 5 3 9 유럽 선수권 대회 3 1 8 12[9] 지중해 게임 0 0 1 1 총계 5 7 16 28
3. 1. 올림픽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에는 올림픽에 출전하지 않았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신 유고 연방) 시절,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9]
대회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리 | 패배 | 세트 득점 | 세트 실점 | 선수 명단 | |
---|---|---|---|---|---|---|---|---|---|
1964부터 1988까지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
1992 바르셀로나 | 출전 정지 | ||||||||
1996 애틀랜타 | 준결승 | 3위 | 8 | 5 | 3 | 16 | 14 | 선수 명단 | |
2000 시드니 | 결승 | 1위 -- | 8 | 6 | 2 | 21 | 11 | 선수 명단 | |
2004 아테네 | 8강 | 5위 | 6 | 4 | 2 | 13 | 9 | 선수 명단 | |
2008 베이징 | 8강 | 5위 | 6 | 2 | 4 | 11 | 13 | 선수 명단 | |
2012 런던 | 예선 | 9위 | 5 | 1 | 4 | 7 | 13 | 선수 명단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출전 실패 | ||||||||
2020 도쿄 | |||||||||
2024 파리 | 예선 | 9위 | 3 | 1 | 2 | 5 | 8 | 선수 명단 | |
합계 | 6/9 | 1회 우승 | 36 | 19 | 17 | 73 | 68 | — |
3. 2. 세계 선수권 대회
연도 | 순위 | 경기 | 승 | 패 | 세트 득 | 세트 실 |
---|---|---|
1949년 | 불참 | colspan=5| |
1952년 | 불참 | colspan=5| |
1956년 | 10위 | colspan=5| |
1960년 | 불참 | colspan=5| |
1962년 | 8위 | colspan=5| |
1966년 | 8위 | colspan=5| |
1970년 | 10위 | colspan=5| |
1998년 | -- 은메달 | colspan=5| |
2002년 | 4위 | colspan=5| |
2006년 | 4위 | colspan=5| |
2010년 | -- 동메달 | colspan=5| |
2014년 | 9위 | colspan=5| |
2018년 | 4위 | colspan=5| |
2022년 | 9위 | colspan=5| |
3. 3. 월드컵
대회 | 3위 | 총계 |
---|---|---|
월드컵 | 1 | 1 |
- 2003년 일본 – -- '''동메달'''
- : 고란 마리치, 보얀 야니치, 슬로보단 보슈칸, 바사 미이치, N. 그리비치 (주장), 블라디미르 그리비치, 노비차 벨리차, 안드리야 게리치, 고란 부예비치, 이반 밀리코비치, 일리치, 이고르 부수르로비치. 감독: 류보미르 트라비차
- 1965년 - 8위
- 1977년 - ''출전 직전 포기''[17]
- 2003년 - 3위
- 2007년 - 불참
- 2011년 - 8위
- 2015년 - 불참
- 2019년 - 불참
- 2023년 - Pool B 5위
3. 4.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연도 | 순위 | 경기 | 승 | 패 | 세트 득 | 세트 실 | |
---|---|---|---|---|---|---|---|
1993 | 개최 중단 | ||||||
1997 | 자격 미달 | ||||||
2001 | 3위 -- | 5 | 3 | 2 | 9 | 7 | |
2005 | 자격 미달 | ||||||
2009 | |||||||
2013 | |||||||
2017 | |||||||
합계 | 1/7 | 5 | 3 | 2 | 9 | 7 |
- 2001 – -- '''동메달'''
- : 요카노비치, 마이다크, 스코리치, 보스칸, 미이치, N. 그르비치 (주장), V. 그르비치, 게리치, 부예비치, 밀리코비치, 부수로비치, 감독: 가이치
3. 5. 월드 리그 / 네이션스 리그
'''우승''' 준우승 3위 4위연도 | 순위 | 경기 | 승 | 패 | 세트 득 | 세트 실 | ||||||||||||||||||||||||||||||||||||||||||||||||||||||||||||||||||||||||||||||||||||||||||||||||||||||||||||||||||||||||||||||||||||||||||||||||||||||||||||||||||||||||||||||||||||||||||||||||||||||||||||||||||||||||||||||||||||||||||||||||||||||||||||||||||||||||||||||||||||||||||||||||||||||||||||||||||||||
---|---|---|---|---|---|---|---|---|---|---|---|---|---|---|---|---|---|---|---|---|---|---|---|---|---|---|---|---|---|---|---|---|---|---|---|---|---|---|---|---|---|---|---|---|---|---|---|---|---|---|---|---|---|---|---|---|---|---|---|---|---|---|---|---|---|---|---|---|---|---|---|---|---|---|---|---|---|---|---|---|---|---|---|---|---|---|---|---|---|---|---|---|---|---|---|---|---|---|---|---|---|---|---|---|---|---|---|---|---|---|---|---|---|---|---|---|---|---|---|---|---|---|---|---|---|---|---|---|---|---|---|---|---|---|---|---|---|---|---|---|---|---|---|---|---|---|---|---|---|---|---|---|---|---|---|---|---|---|---|---|---|---|---|---|---|---|---|---|---|---|---|---|---|---|---|---|---|---|---|---|---|---|---|---|---|---|---|---|---|---|---|---|---|---|---|---|---|---|---|---|---|---|---|---|---|---|---|---|---|---|---|---|---|---|---|---|---|---|---|---|---|---|---|---|---|---|---|---|---|---|---|---|---|---|---|---|---|---|---|---|---|---|---|---|---|---|---|---|---|---|---|---|---|---|---|---|---|---|---|---|---|---|---|---|---|---|---|---|---|---|---|---|---|---|---|---|---|---|---|---|---|---|---|---|---|---|---|---|---|---|---|---|---|---|---|---|---|---|---|---|---|---|---|---|---|---|---|---|---|---|---|---|---|---|---|---|
1990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
{{flagicon|ITA|} | } 1991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획득 | 세트 손실 |
---|---|---|---|---|---|---|---|
1948 ~ 1991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
1993 | 참가 중단 | ||||||
1995 | 준결승 | -- | 7 | 5 | 2 | 16 | 7 |
1997 | 결승 | -- | 7 | 5 | 2 | 16 | 7 |
1999 | 준결승 | -- | 5 | 3 | 2 | 11 | 8 |
2001 | 결승 | -- | 7 | 6 | 1 | 20 | 6 |
2003 | 준결승 | 4위 | 7 | 4 | 3 | 17 | 11 |
2005 | 준결승 | -- | 7 | 6 | 1 | 20 | 6 |
2007 | 준결승 | -- | 8 | 5 | 3 | 18 | 13 |
2009 | 2라운드 | 5위 | 6 | 4 | 2 | 15 | 8 |
2011 | 결승 | -- | 6 | 6 | 0 | 18 | 5 |
2013 | 준결승 | -- | 7 | 5 | 2 | 17 | 9 |
2015 | 8강 | 7위 | 5 | 3 | 2 | 11 | 10 |
2017 | 준결승 | -- | 6 | 5 | 1 | 17 | 7 |
2019 | 결승 | -- | 9 | 9 | 0 | 27 | 6 |
2021 | 준결승 | 4위 | 9 | 6 | 3 | 21 | 15 |
2023 | 8강 | 6위 | 7 | 5 | 2 | 16 | 8 |
2026 | 미래의 행사 | ||||||
총계 | 진출: 16/17 | 103 | 77 | 26 | 260 | 126 |
4. 주요 선수
선수 | 포지션 | 비고 |
---|---|---|
니콜라 그르비치 | 세터 | |
블라디미르 그르비치 | 레프트 | |
안드리야 게리치 | 센터 | |
이반 밀리코비치 | 라이트 | |
슬로보단 보슈칸 | 레프트 | |
고란 부예비치 | 레프트 | |
우로시 코바체비치 | 레프트 | |
마르코 이보비치 | 레프트 | |
알렉산다르 아타나시예비치 | 라이트 | |
니콜라 코바체비치 | 레프트 | |
네마냐 페트리치 | 레프트 | |
드라간 스탄코비치 | 센터 | |
니콜라 요보비치 | 세터 | |
사샤 스타로비치 | 라이트 | |
마르코 포드라슈차닌 | 센터 | |
스레츠코 리시나츠 | 센터 | |
알렉산다르 오콜리치 | 센터 | |
밀란 카티치 | 레프트 | |
밀로스 니키치 | 레프트 | |
토미슬라브 도키치 | 라이트 | |
드라젠 루브리치 | 라이트 | |
알렉사 브르조비치 | 세터 | |
네벤 마이스토로비치 | 리베로 | |
니콜라 로시치 | 리베로 | |
슬로보단 코바치 | 레프트 | |
데얀 브르조비치 | 라이트 | |
라이코 요카노비치 | 세터 | |
줄라 메슈테르 | 센터 | |
바사 미이치 | 리베로 | |
자르코 페트로비치 | 세터 | |
이고르 부슈로비치 | 레프트 | |
보얀 야니치 | 레프트 | |
에딘 슈코리치 | 센터 | |
벨리코 페트코비치 | 세터 | |
젤리코 타나스코비치 | 레프트 | |
블라디미르 바테즈 | 라이트 | |
조르제 줄리치 | 센터 | |
마르코 사마르지치 | 리베로 | |
데얀 보요비치 | 라이트 | |
노비차 비엘리차 | 센터 | |
브라도 페트코비치 | 세터 | |
밀란 바시치 | 센터 | |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 레프트 | |
브라단 조르제비치 | 세터 | |
이반 일리치 | 세터 | |
밀란 마르코비치 | 센터 | |
페타르 크르스마노비치 | 센터 |
5. 역대 감독
감독 | 재임 기간 |
---|---|
조란 가이치 | 1995년 ~ 2002년 |
류보미르 트라비차 | 2003년 ~ 2006년 |
이고르 콜라코비치 | 2006년 ~ 2014년, 2022년 ~ 현재 |
니콜라 그르비치 | 2015년 ~ 2019년 |
슬로보단 코바치 | 2019년 ~ 2021년 |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CEV -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https://web.archive.[...]
2020-12-21
[2]
웹사이트
Serbia
https://eurovolley.c[...]
2024-05-13
[3]
웹사이트
Trofej OKS – Najuspešniji sportisti
https://web.archive.[...]
2010-08-20
[4]
웹사이트
Volleyball at the 2000 Sydney Summer Games: Men's Volleyball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Istorija odbojke u Srbiji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Serbia celebrates "Million Dollar Boys"
http://www.fivb.com/[...]
[7]
웹사이트
Serbia triumph with EuroVolley men's crown too!
https://www.cev.eu/N[...]
[8]
웹사이트
Kovač više nije selektor, promene i u mlađim kategorijama reprezentacije
https://www.ossrb.or[...]
2021-10-23
[9]
웹사이트
CEV -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https://www.cev.eu/C[...]
[10]
웹사이트
FIVB Senior World Ranking - Men
https://en.volleybal[...]
FIVB
2024-03-08
[11]
웹사이트
Odbojkaški savez Srbije - Organizacija
http://www.ossrb.org[...]
OSSRB
2010-06-13
[12]
웹사이트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CEV)
http://www.fivb.org/[...]
FIVB
2015-04-07
[13]
웹사이트
1998年バレーボール世界選手権 - 男子出場チーム ユーゴスラビア
http://www.tbs.co.jp[...]
TBS
2010-06-13
[14]
웹사이트
Volleyball federation drops Yugoslavia from World League
http://sportsillustr[...]
CNN/SI
1999-03-30
[15]
웹사이트
最近のボスニア/コソボ <五輪・バレー>ユーゴ バルカン半島の憂うつ晴らす大合唱
http://www.pluto.dti[...]
毎日新聞
2000-10-01
[16]
웹사이트
Serbia wins the Olympic ticket!
http://www.cev.lu/mm[...]
CEV
2008-01-14
[17]
뉴스
朝日新聞
1977-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